Computer Scientist 커리큘럼
컴퓨터 과학의 핵심 이론과 실무 능력을 체계적으로 기를 수 있는 종합 과정입니다.
🎯 학습 목표
- 컴퓨터 과학의 기본 원리와 핵심 이론 이해
- 효율적인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능력 향상
- 시스템 설계와 아키텍처에 대한 깊은 이해
- 소프트웨어 공학 원칙을 적용한 대규모 프로젝트 경험
📚 커리큘럼 구성
🎯 학습 단계별 개요
Part I: 계산의 기원 - 컴퓨터 과학의 기본 토대를 마련하는 단계입니다. 논리적 사고와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익히며, 문제를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배웁니다.
Part II: 보이지 않는 엔진 - 효율적인 알고리즘과 자료구조를 학습하여 최적화된 해결책을 찾는 능력을 기릅니다. 계산의 복잡도를 이해하고 성능을 분석하는 방법을 습득합니다.
Part III: 현실과의 다리 - 추상적인 개념들이 실제 컴퓨터 시스템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학습합니다.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시스템 전체를 바라보는 관점을 기릅니다.
Part IV: 구축의 기술 - 대규모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하는 공학적 방법론을 학습합니다. 팀 협업과 프로젝트 관리 능력도 함께 개발합니다.
Part V: 혁신의 최전선 - 특정 분야의 전문성을 기르며 최신 기술 트렌드를 탐구합니다. 연구 개발 능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을 심화시킵니다.
graph TD subgraph CS["🎓 컴퓨터과학 지식의 세계"] A["Part I: 계산의 기원
기초를 다지는 단계"] --> B & C & D subgraph "Part I: 기초 원리" B["수학적 기초
논리·집합·증명"] C["프로그래밍 기초
언어·문법·구조"] D["CS 입문
추상화·문제해결"] end A --> E["Part II: 보이지 않는 엔진
효율성을 탐구하는 단계"] E --> F & G & H & I subgraph "Part II: 핵심 이론 및 알고리즘" F["자료구조
배열·트리·그래프"] G["알고리즘
정렬·탐색·DP"] H["계산복잡도
Big-O·P vs NP"] I["이산수학
조합론·그래프이론"] end E --> J["Part III: 현실과의 다리
추상을 구현하는 단계"] J --> K & L & M & N subgraph "Part III: 컴퓨터 시스템" K["컴퓨터 구조
CPU·메모리·I/O"] L["운영체제
프로세스·메모리관리"] M["네트워크
프로토콜·분산시스템"] N["데이터베이스
관계형DB·트랜잭션"] end J --> O["Part IV: 구축의 기술
시스템을 만드는 단계"] O --> P & Q & R subgraph "Part IV: 소프트웨어 공학" P["소프트웨어공학
설계패턴·테스팅"] Q["프로젝트관리
Agile·DevOps"] R["시스템설계
아키텍처·확장성"] end O --> S["Part V: 혁신의 최전선
전문성을 기르는 단계"] S --> T & U & V & W & X subgraph "Part V: 전문 분야" T["인공지능
ML·딥러닝"] U["보안
암호학·사이버보안"] V["HCI
UX·인터페이스"] W["컴퓨터그래픽스
렌더링·게임개발"] X["빅데이터
분산처리·분석"] end end style CS fill:#f9f9f9,stroke:#333,stroke-width:2px style A fill:#e1f5fe,stroke:#01579b,stroke-width:2px style E fill:#f3e5f5,stroke:#4a148c,stroke-width:2px style J fill:#e8f5e8,stroke:#1b5e20,stroke-width:2px style O fill:#fff3e0,stroke:#e65100,stroke-width:2px style S fill:#fce4ec,stroke:#880e4f,stroke-width:2px
작성자: 이시헌
문의처: 7bde31@gmail.com
학습 교재 및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은 상기 메일로 정리하여 보내주세요. 일대일로 상담해 드립니다.